함양군수 태촌泰村 고상안高尙顔의 월명총月明塚 기우제
거칠어진 월명총에서 유래를 설명하고
왼쪽에서 두 번째 공주대학교 한문교육과 백원철 교수와
세 번째 경상대학교 한문학과 김윤수
연민 이가원 선생이《조선문학사》에서 원문을 소개한 태촌泰村 고상안高尙顔(1553~1623)의 시를 살펴본다.《태촌집》제 1권에 칠언 절구 <월명총>과 <만덕총>이 실려 있는데 상호 반대되는 소재를 대비하여 지은 작품이다. <만덕총>은 뒤에 고찰하기로 하고 먼저 <월명총>을 본다.
금석정심마불린 金石貞心磨不린 금석같이 곧은 마음 갈아도 닳지 않고
곡수이척사동분 穀誰貽戚死同墳 낭군이 근심 끼쳤으나 무덤은 같이 썼네
능교만고부윤기 能敎萬古扶倫紀 능히 만세에 윤리를 세우게 하였고
우향삼농작우운 又向三農作雨雲 또 농사철에는 비가 되어 내렸네
태촌 원주 : "월명은 사근역 여인이다. 남편을 생각하다 병사하여 산꼭대기에 장사하였다. 가뭄이 드는 해에는 그 무덤의 흙을 무너뜨리면 비가 내린다."
이 시의 뜻을 살펴보면 월명의 정심貞心을 단단한 금석에 비유하고 승구承句는 살아 헤어졌지만 죽어서 한 무덤에 있게 된 사연을 묘사하고 전구轉句는 월명의 정열貞烈이 만고에 윤리의 귀감이 됨을 강조하였고 결구結句는 함양지역의 우신雨神이 된 새로운 양상을 표현하였다.
결구結句는 함양의 기우제 민속에 월명이 자리한, 새로운 사실을 증언하는 역사 자료이다. 월명을 읖은 최초의 시인 점필재는 가뭄이 들면 함양군 휴천면에 있는 용유담龍游潭의 성모묘聖母廟에서 기우제를 지내곤 하였는데 조선 후기 태촌 시대에는 월명이 영험 있는 비의 신이 되어 있었으니, 전승 과정에서 어떠한 변화가 있었을 것이다. 그것도 무덤의 흙을 훼손해야 비가 내리니, 계속 훼손하면 무덤은 사라질 것인바 어떻게 기우제를 지낼 수 있겠는가. 훼손하기 위해선 복구해야 하리니, 무덤에 대한 계속적인 관심과 보수 유지를 위한 영적 작용일 것이리라.
태촌은 선조 34년(1601)에서 37년(1604)까지 함양군수를 역임하여 보고 듣고 체험하고 관심을 기울여 시로 읊고 수필로 기록을 남겼다.《태촌집》제 5권에 있는《효빈잡록 效嚬雜錄》하〈여화餘話〉에 더 자세한 전설이 기록되어 있다.
"옛사람이 망부석을 읊은 시에 '산머리에 날마다 바람 불고 비 내리니 행인이 돌아오면 돌이 응당 말을 하리.' 라고 하였다. 풀이하는 자가 '망부석에는 저녁마다 바람 불지 않으면 비가 온다. 시의 뜻은 이것을 가리킨 것이다.' 라고 하였다. 나는 처음에는 그 말을 믿지 않았다. 그러나 천령天嶺(함양의 고호)에 부임하고서 두 번씩이나 월명총을 무너뜨리고 비를 얻은 뒤에야 비로소 옛사람의 시는 대개 허경虛境이 없음을 알았다. 월명은 사근역 여인이다. 서울 장사치에게 시집가기로 하고 혼례를 치렀다. 오래지 않아 장사치는 이익을 위해 상경하였다. 여인은 남편을 생각하여 마지않았고 식음을 전폐하였다. 병이 이미 위중해진 뒤 그 남편에게 편지하니 남편이 듣고서 배를 품고 천리길을 달려 내려왔다. 도착되기 전에 여인은 병이 위독해졌다. 임종시에 그 부모에게 부탁하기를 '서산의 꼭대기에 나를 묻어 주세요. 죽어서도 의식이 있다면 남편이 돌아오는 길을 바라볼 것입니다.' 라고 하였다. 부모가 불쌍히 여겨서 그 말대로 장사하였다. 장사지내는 날에 장사치가 비로소 왔는데 또한 애달파하더니 죽었다. 같은 무덤에 장사하였다. 장사지낸 뒤에 배나무가 무덤위에 생겨났으니 곧 가슴에 품고 온 배였다. 세월이 오래되어 나무는 늙어 지금은 존재하지 않는다. 내가 함양군에 있은 지 모두 4년이었는데 두 번이나 가뭄이 들었다. 원로들이 월명총을 파면 비가 온다고 하였다. 이른 바 판다는 것도 다 파는 것이 아니라 그 흙덩이 10여 개를 무너뜨리는 정도이다. 두 해에 흙을 팠더니 다 단비가 내렸다. 그렇다면 망부석의 비바람도 괴이한 것이 없겠다. 어떤이가 묻기를 '그렇다면 월명총은 어찌 날마다 비바람이 없는가.' 고 하기에 내가 답하기를 '망부산의 남편은 끝내 돌아오지 않았고 월명의 남편은 죽어서 무덤을 같이 하였으니 원한에 있어서도 깊얕이가 있다. 비바람이 어찌 항상 있겠는가' 고 하였다. 어떤이가 위하여 시 한 구절을 읊었다." (이하 칠언절구 1수는 같은 것이므로 생략함.)
선조 36년(1603) 경의 함양군수 태촌 시대와 성종 4년(1473) 경의 함양군수 점필재 시대는 140년의 격차가 나는데 설화는 더욱 다양해지고 상세해진 것을 알 수 있다. 점필재가 기록한 것으로 추정되는《신증동국여지승람》의 월명총 기사와 비교하여 현저히 다르고 새로이 첨가된 내용을 살펴보면, 첫째, 동경상인東京商人이 경상京商으로 단순화되었고 둘째, 단순히 좋아하고 머문 것에서 정식 혼례를 치른 것으로 변모되었고 셋째, 장사치가 제발로 온 것에서 편지를 받고 온 것으로 구체화되었다. 넷째, 월명이 죽으면서 부탁한 유언이 기록되었고 다섯째, 남편이 돌아올 때 배를 갖고 왔고 그것이 묻히어 무덤에 배나무가 자라났으며 여섯째, 월명총의 흙을 조금 훼손하면 비가 내린다는 전설과 영험이 생긴 것이다.
기록이란 시대가 흘러갈수록 증가되는 경우도 있고 사라지는 경우도 있는데 월명 이야기의 기록이 증가된다는 것은 그만큼 사람들의 심정에 부합되는 점이 있어서일 것이다. 그것은 인간의 영원한 주제 남녀간의 애정 문제이기 때문일 것이다.김윤수.월명총과 만덕총.함양문학7.
뢰谿集卷之二 |
七言小詩 |
|
學士樓頭明月輝。儒仙一去鶴仍歸。鷄林黃葉千年後。誰認當時丁令威。
城南城北鬧鷄豚。賽罷田神穀雨昏。太守遊春勤勸課。肩輿時入杏花村。
十里柔桑綠漲林。淸明時節已成陰。隔牕夢覺間關鳥。唱得蠕蠕百箔蠶。
秋風一郡烏椑樹。滿眼霜紅似醉鄕。百歲生涯眞樂土。家家不解子孫忙。
沙斤城畔起陰雲。坤靈夜泣雨紛紛。庚申萬鬼啾啾哭。似恨當時張使君。
頭流山上起霱雲。神母霏霏絳彩旂。肅莫椒菜簫鼓沸。顧憑杯珓卜靈威。
月明塚上但明月。寒食年年宿草多。昨夜遊魂瓊佩冷。東風吹盡杜鵑花。
拋雲鬒髮竝金鈿。愁向梅花意共傳。脈脈蘭心君未會。小孤臺畔水如天。
嬰年總角拜江神。暗禱休爲薄命人。十藏仳離緣最惡。每將釵釧卜郞身。
挾彈郞君白玉膚。雲情不慣拒招呼。殷勤密符黃金贈。奈此羅浮自有夫。
泰村先生文集卷之一 |
詩 |
|
金石貞心磨不磷。穀雖貽戚死同墳。能敎萬古扶倫紀。又向三農作雨雲。
泰村先生文集卷之一 |
詩 |
|
隨嫁隨亡過此生。九爲孀婦幾傷情。山腰十塚累累在。地下千秋愧月明。
泰村先生文集卷之五 |
效嚬雜記下 |
|
[月明塚]
古人詠望夫石詩曰。山頭日日風和雨。行人歸來石應語。釋之者曰。望夫山每夕不風則雨。詩意指此也。余初未之信也。及宰天嶺。再隳月明塚得雨。然後始知古人之詩。蓋無虛境也。月明者。沙斤驛女也。許嫁京商。結髪未久。商重利上洛。女念夫不已。專廢餔歠。病已危重。折簡厥夫。夫聞之。懐梨跋涉而下。未到已女疾革矣。將死囑其父母曰。葬我於西山絶頂。歿而有知。當望夫婿歸路也。父母憐之。葬如其言。葬之日。商始來。亦傷悼而死。同墳而葬。葬後有梨生于塚上。即所懐梨也。歲久樹老。今不存焉。余在郡凡四載。再遭旱暵。父老曰。掘月明塚則雨。所謂掘者。非盡掘也。不過隳其土十餘塊而已。兩年掘土。皆得甘雨。則望夫山之風雨。無足怪也。或曰。然則月明塚何無日日風雨乎。余曰。望夫之夫終不歸。月明之夫死而同穴。怨恨亦有淺深。則風雨豈無時恒乎。人有爲詠一絶曰。金石貞心磨不磷。糓雖貽戚死同墳。能敎萬古扶倫紀。又向三農作雨雲。
[萬德九嫁而九孀]
萬德。亦沙斤驛女也。娶者輒死。凡九嫁而九孀。驛有好事者。連塋而葬。即月明塚山下也。萬德死。又葬于九塚之下。十塚相次如連珠焉。有人作詩曰。隨嫁隨亡過此生。九爲孀婦幾傷情。山腰十塚累累在。地下千秋愧月明。
월명총 (月明塚) 함양의 관문인 수동 삼거리에서 함양읍으로 들어오는
좌측에 한 마을이 있다. 이 곳은 행정 구역상 함양읍 백천리에 속해
있다. 이 마을이 월명 부락으로서 월명총에서 유래되었다고 하며 여기에
얽힌 이야기는 다음과 같다. 망부 (望夫)의 느티나무 함양군 마천면 의중 마을은 1580년 조선조 선조 때에
함양 박씨 중시조 선(善)의 16대손 사신, 사성 두 형제가 마천으로 들어와서
이 마을 동남쪽 3백m부근인 현재의 쉰재들 한 곳에 자리잡아 살다가
한 분은 의중 마을로 한 분은 의평 마을로 들어와 계속 살았다고 한다.
상림숲에 읽힌 최치원의 효성 우거진 숲속이나 시냇가에는 뱀이나 개미들의 해충이
있게 마련이고 녹음을 즐기려 숲 속을 찾을 때에는 이러한 해충들을
조심해야 함은 누구나 다 아는 바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