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자를 찾아서 / 지리산 상무주암 | ||||||||
보조국사 지눌 | ||||||||
들꽃이 전하는 고승의 법문소리 | ||||||||
뛰어난 사찰이 있기에 산은 명산(名山)이 될 수 있고, 명산 속에 있으므로 사찰은
명찰(名刹)이 된다. 거기 역사마저 가미되면 고찰(古刹)이 된다. 경상남도 함양군 마천면에 위치한 지리산 상무주암(上無住庵)이 그런 곳이다.
지리산과 상보관계를 이루며 오늘날까지 법등(法燈)이 이어진 명산 속의 명찰이자, 역사 속의 고찰이다.
‘상무주’라는 편액이 붙은 주(主)불전, 왼편에 작은 산신각인 듯 한 불전, 마당 한편에 있는 3층 석탑이 상무주암의 전부였다. 그러나 이면에 흐르는 면면한 역사와 암자 분위기는 측량할 수 없는 깊이를 가지고 있었다. 3층 석탑만 해도 그렇다. 이것이 유명한 필단사리탑(筆端舍利塔). 각운스님이 〈선문염송설화〉 저술을 마치자, 붓 통 속에 사리가 갑자기 떨어졌다. 그 사리를 봉안한 탑이 바로 이 탑. 해서 이름이 ‘필단사리탑’이 됐다. 상무주암은 또 지리산을 앞마당으로 가진 거의 유일한 사찰이라 해도 지나친 말은 아니다. 산을 올라가면 내려와야 하는 법. 감흥에 젖어 한참이나 서성대다 어쩔 수 없이 하산했다. 하산 길은 쉬웠지만 “부르는 사람도 없는데 이름은 알아서 뭐해”라며 끝내 법명을 밝히지 않은 스님 얼굴이 지리산을 벗어날 때까지 따라 왔다. 상무주암과 지리산의 법향(法香)도 함께 따라 오는 듯 했다. 함양=조병활 기자 bhcho@buddhism.or.kr 사진 김형주 기자 cooljoo@buddhism.or.kr |
秋江先生文集卷之六 |
雜著 |
|
丁未九月二十七日癸亥。發晉州餘沙等村。赴斷俗寺。
抵義神庵。庵之西面。盡爲脩竹。杮木雜生竹間。紅實透日。舂廬溷室。亦在竹間。近日所見佳境無此比。殿內。有金佛一軀。西側室。有僧像一軀。余問此何人。僧曰。此義神祖師也。到此修道。道旣半。此山天王勸祖師移住他所。自爲鷦鷯鳥引路。師隨之。及一大岾。化爲鵰。至今名其岾曰鷦鷯鵰云。鵰又引路。至下無住基。師曰。此地幾日成道。鵰曰。三七日。師遲之。師又至中無住基。師曰。此地幾日成道。鵰曰。一七日。師又遲之。鵰又至上無住基。不能入。曰。此地可一日成道。非女人所得入。師自入擇地。結幕精盡。改名曰無住祖師。其言甚厖。余於庵前攤飯。穿竹林中涉三大川。登內堂岾。北視鷦鷯鵰岾。南下草莽中行三十里。抵七佛寺。寺本名雲上院。新羅眞平王朝。有沙飧金恭永之子名玉寶高者。荷琴入智異山雲上院。以琴修心五十餘年。作曲三十調。日日彈之。景德王於街亭。翫月賞花。忽聞琴聲。王問樂師安長一名曰聞福。請長一名曰見福者曰。此何聲。二人曰。此非人間所聞。乃玉寶仙人彈琴聲也。王齋戒七日。玉寶至王前奏曲三十調。王大喜。使安長,請長習之。傳於樂府。更於所居寺。設大伽藍。三十七國。皆宗此寺爲願堂。有泂首坐者稍解禪法。爲山中衲子師者爲余云云
於于集卷之六 |
雜識 |
|
三月丁卯
又蹭蹬抵靈源菴。靈源。靜界也。喬基爽塏。俯臨群木。剖篔簹引飛泉。琮琤鳴玉。㵼下木槽中。淸瑩可以解渇。菴小不滿三四楹。而淸僻可愛。南對馬耳峯。東望天王峯。北負上無住。有名僧善修居之。率徒第演經。四方釋子多歸之。與詢之頗相善。餉之以松餻蔘餅八味茶湯。是山多竹實柹子栗子。每秋收而舂之以爲粻云。日晩風色颯然。前峯雲氣苒苒而生。知有雨候。遂促行轉獅子項。下長亭洞。牽脩蔓直下絶磴。過實德里。始見野田初決渠。白水決決。暮投君子寺。寺野刹也。埃氛滿堂。獨牧丹對禪房方敷榮。可賞。寺前舊有靈井。號靈井寺。今改以君子。未知取何義也。數日間淸遊雲表。有若羽化淸都。忽一夕擠落黃塵。使人神精逼塞。夜夢將魘。夫子所謂君子居何陋者。恐難服膺也。壬申。朝發。經義吞村。多感古焉。昔者。佔畢齋從此路向天王峰者也。彼彼我我。吾不必由斯。徑行三四里。至圓正洞。洞天弘敞。去去加勝。至龍游潭。層峯合沓。皆多石少圡。蒼杉赤松所攅聚。復以蘿薜經緯之。亘一大石。劈兩厓成巨峽。東江流其中而奔注之。噴沫舂撞。石爲猛浪所簸磨。或成窪。或成堆。或呀然而成罅。或坦然而成場。高低起伏數百步。萬千殊狀。不可以殫形。釋徒尙誕。指石缺者爲龍抓。石嵌圓者馬龍蟠。石中裂谺谽者爲龍抉穿而行。民之無知。咸以爲信。至此不覺頂禮。爲士者亦曰龍不見石。爲變化所使。余亦目其可駭可愕。想有神物宅玆。豈夸娥巨靈能斧斤以成之者。試以詩驗之。乃書一絶投之淵。以調戲之。俄而。厓窟中有如煙非煙之氣脈脈而昇。亂峰蒼翠之間。有殷殷之聲。閃閃之光。乍作而乍止。同行者遂褰裳徑渡。略彴走投于荒祠中以竢焉。須臾雨足如銀繩。飛雹大如鳥卵。一䝰驟至。座中年少輩色沮。幾失匙焉。移晷而後宇宙盤駁。日脚漏於雲際。遂緣厓而行迷失路。入灌叢中。草露濡裳。藤梢刺面。推且挽披荒榛。仄轉山腹而登。行行傴僂。折篁笋採蕨芽。行屩爲之滯淹。東過馬跡庵。攅柯挐蔓。故基猶存。夤緣山冢。十步九折。陟降之勞。無不汗顔。酸股繭足。若使被人役使爲也。其怨咨嗔怒。雖呵禁難止。而群行朋息。嘻笑盈路。豈非賞心之可娛也歟。遂入頭流菴。菴之北有臺。直南而望之。有飛瀑瀉于巖間。如懸玉簾數十仞。雖竟夕坐玩。不覺其疲。而會雨新晴。谷風淒緊。以爲過爽不可久淹。遂入禪房安頓焉。癸酉。侵晨而行掠甕巖。入淸夷堂。穿森木亂石叢。至永郎臺。俯臨陰壑。然昏黒。魄遁眼眩。攀木却倚。愕眙而不能稽。永郎者。花卽之魁也。新羅時人也。率徒三千人。遨遊山海。我國名山水。無不寓名焉。循山脊。指天王峯而東。山多烈風。樹木皆擁腫。枝柯向山而靡。苔髮骨樹。鬖鬖如人被髮而立。松皮柏葉之木。中無腸而榦四披。枝頭下搶干地。山益高而樹益短。山之下。濃陰交翠。而至此花梢未吐葉。尖如鼠耳。巖罅有積雪盈尺。掬而啗之。可以沃渇喉。有草纔抽芽。靑莖者曰靑玉。紫莖者曰紫玉。僧云此草味甘滑可食。擷之盈掬而來。余曰。僧稱靑紫玉。乃仙家所餌瑤草也。乃植杖手摘之。殆滿囊焉。前登少年臺。仰瞻天王峯。高出雲漢。無雜草木。只蒼柏聯緣而生。被氷霜風雨所侵暴。枯死骨立者十居二三。望之如頒白老人頭。殆不可盡鑷者也。少年云者。或稱永郞之流也。余意天王峯。長老也。此峯。奉承之如少年。故名之歟。下視群山萬壑。衆皺爛熳。此地尙然。而況於第一峯乎。遂飛杖登天王峯。峯之上有板屋。乃聖母祠也。祠中安一石塑。爲白衣女像。未知聖母是何人。或曰高麗王太祖母。爲其生育賢王。能統三韓。故尊祀之。式至于今。嶺湖之間。要福者歸之。奉以爲淫祠。仍成楚越尙鬼之風。遠近巫覡。憑玆衣食之。登絶頂。俯察儒士官人來。卽雉兔散藏身林薄中。伺其遊覽者。下山還聚焉。環峯腰列板閣如蜂房。將迎祈禠者宿留焉。托以宰殺爲禪家禁。繋牛畜于山下叢祠而去。巫者取以資其生。故聖母祠,白母堂,龍遊潭。爲巫覡之三窟。誠可憤也。萬曆三十九年辛亥四月日。默好翁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