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계서원(藍溪書院)

  



풍영루
 
 

  연  대 : 조선시대(1552년)
 

  소  재 : 함양군 수동면 원평리
 
 
 
 
 
 
 


 남계서원은 명종 7년(1552)에 세워져 명종 21년(1566)에 사액 받고, 선조 30년(1597) 정유재란 때 소실 된 것을 광해군 1년(1612)에 재건 하였다.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 때 남은 47개의 서원 가데 하나이다. 또한 일찍이 사림의 본바닥으로 자리잡은 영남지방의 많은 서원 가운데서도 '우 함양'의 기틀을 이룬 정여창을 모신 서원이어서 오랜 세월 역사와 더불어 높은 명성을 얻고 있다.

 서원 입구에는 홍살문과 하마비가 서 있고, 그 뒤로 풍영루가 정문을 겸해 서 있다.  누각에 오르면 연꽃을 비롯한 갖가지 꽃무늬장식과 그림을 볼 수 있다. 정여창은 연꽃을 좋아하여 재실의 이름도 애련헌(愛蓮軒) 이라 하였다고 한다.

풍여루 앞 연못 건너 동·서재가 마주보고 있고, 명성당이라는 강당의 뒤쪽 언덕에 사당이 마련돼 있다. 그 밖에도 전사청과 장판각 등의 건물이 있고, 명성당은 큰 배롱나무가 포근히 감싸고 있으며, 사당에서는 정여창과 강익·정온 세분을 모시고 있다.

사당이 있는 높은 언덕에서는 남계서원 전경과 남계천을 하늘에서 내려다보듯 한눈에 조망할 수 있다. 본래 서원은 산간이나 향촌에 은거하며 학업을 익히기 위한 뜻으로 세워졌기 때문에 꾸밈이 소박하고 주위의 자연과 잘 어울린다.

바로 근처에 김일손(金馹孫 1464-1498)을 배향하는 청계서원(靑溪書院)이 있는데, 순종 1년(1907)에 청계정사가 중건되고 그뒤 세워진 것이다. 김일손은 조선 초기의 학자로 김종직의 문하에 들어가 정여창·강혼 등과 깊이 교유하였다. 주로 언관으로 재직하면서, 훈구파의 불의와 부패를 공격하는 한편 사림파의 정계진출을 적극적으로 도왔다. 그 결과 무오사화 때 능지 처참되었다.

청장관전서 제69권
 한죽당섭필 하(寒竹堂涉筆下)

 

남계묘정비(灆溪廟庭碑)                      원문 제1도, 제2도, 제3도


남계서원(灆溪書院)은 문헌공(文獻公) 정일두(鄭一蠹 일두는 정여창(鄭汝昌)의 호) 선생을 향사(享祀)하는 곳이다. 그 봉사손(奉祀孫) 덕제(德濟)가 묘정비(廟庭碑)를 세웠는데 비문은 본암(本菴 김종후(金鍾厚)의 호)이 지었다.
이 비문을 두고 마을의 대성(大姓)과 사족(士族)들의 비판이 거세게 일어났다. 이는 비문 내용에 성리학(性理學)의 도통(道統)을 열서(列書)하면서 회재 선생(晦齋先生 회재는 이언적(李彦廸)의 호)을 기록하지 않은 것은 본암(本菴)의 과실이라 하였다. 이어서 그렇게 쓰도록 종용한 덕제의 허물도 따졌다.
덕제가 부득이 본암에게 개찬(改撰)을 청하자, 본암이 드디어 제현(諸賢)을 차례로 기록한 것을 삭제하고 다만 '예닐곱 분이 나왔다.'고 써서 그대로 비석에 새겼다.
그러나 사론(士論)은 오히려 '예닐곱 분이 나왔다.'고 한 '예닐곱' 중에는 또 회재를 넣지 않으려는 뜻이 포함되어 있다고 여기고 비판의 소리가 더욱 거세져서 노씨 선국(盧氏宣國)이 도끼로 비문을 찍어 본암의 이름을 깎아냈다. 정씨(鄭氏)는 감사에게 고소하였고 이어 선국(宣國)은 함양(咸陽) 옥에 갇혔다. 지금까지 두세 명의 감사가 바뀌도록 모두 이 사건의 해결을 보지 못하고 있다. 정씨의 말에 의하면,

"마을 사족(士族)의 조상들 가운데 이 서원(書院)의 창건에 공이 있는 이가 많은데 비문에는 다만 강개암(姜介菴 개암은 강익(姜翼)의 호)만을 일컫고 다른 사람은 조금도 언급되지 않았으므로 쟁론(爭論)의 단서가 생긴 것이다."

하고, 사족(士族)들의 말에 의하면,

"정씨가 사림(士林)들과 의론하지 않고 밤중에 비를 세웠으므로 공론들이 좋지 않다."

하였다. 그 비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는 기자(箕子)가 미개한 나라[夷狄]를 문명국[中華]으로 만든 이후 2천여 년 동안에 유학(儒學)은 존재가 없었다가 고려(高麗)에 와서 정포은(鄭圃隱 포은은 정몽주(鄭夢周)의 호)한 사람이 있었으나 논자(論者)들은 그의 충절(忠節)만을 말하고 유학은 덮어두고 말하지 않았으니, 당시에는 대체로 유학을 높일 줄을 몰랐던 것이다.

이에 우뚝이 사도(斯道)를 위하여 땅에 떨어진 유학의 실마리를 중국에서 이어온 이는 실로 한훤(寒暄 김굉필(金宏弼)의 호) 김 선생(金先生)과 일두(一蠹) 정 선생(鄭先生)을 필두로 하여 이를 이은 정암(靜庵 조광조(趙光祖)의 호)ㆍ퇴계(退溪 이황(李滉)의 호)ㆍ율곡(栗谷 이이(李珥)의 호)ㆍ우계(牛溪 성혼(成渾)의 호)ㆍ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의 호)ㆍ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의 호)ㆍ동춘(同春 송준길(宋浚吉)의 호) 제선생(諸先生)이 대대로 일어나 지금에 이르기까지 크게 빛나서 천하의 도통(道統)이 우리나라에 돌아왔으니 아름답고도 훌륭하구나.

그러나 김(金)ㆍ정(鄭) 두 선생은 모두 화를 입어 언론(言論)과 풍지(風旨)가 크게 드러나지 못하였으니, 이것이 학자들이 오래도록 사모하고 가슴아파하는 이유이다. 정 선생(鄭先生)은 함양(咸陽)에 세거(世居)하였으므로 그 자손이 아직도 그곳에 살고 있다. 가정(嘉靖 명 세종(明世宗)의 연호) 연간에 개암(介菴) 강익(姜翼) 선생이 발론하여 남계서원을 세워 선생을 제사하였고, 병인년(명종 21, 1566)에 사액(賜額)되었다.

대개 우리나라에 서원(書院)이 있게 된 것은 주무릉(周武陵 무릉은 주세붕(周世鵬)의 별호)의 죽계서원(竹溪書院)이 최초이고 남계서원이 그 다음이다. 아, 선생은 학자의 모범이고 남계는 서원의 으뜸이다. 어찌 이보다 더할 것이 있겠는가?

서원을 창건한 지 2백여 년이 지나도록 비를 세우지 못했는데 이제 여러 선비들이 돌을 다듬고 비문을 새겨 세울 것을 의론하고 종후(鍾厚)에게 비문을 짓기를 청하므로 종후는 감히 적임자가 아니라고 사양할 수 없었다.

삼가 상고하건대, 선생의 사업(事業)과 행실(行實)의 대체(大體)는 《실기(實紀)》에 대략 나타나 있다. 그 영특한 자질과 탁월한 행실은 보고들음에 모두 탄복하겠으니, 이는 진실로 대현(大賢)의 일절(一節)이라 하겠으며, 경(經)ㆍ자(子)를 연구하고 성정(性情)과 이기(理氣)를 명백히 분석한 것 등은 추강 남공(秋江南公 추강은 남효온(南孝溫)의 호)의 찬술(撰述)에 자세히 갖추어 있으니, 후생이 어찌 감히 다시 이를 본떠서 말하겠는가?

공을 정려(旌閭)하고 포장(褒獎)한 것은 정암(靜庵) 선생에서부터 문익공(文翼公) 정광필(鄭光弼)ㆍ문충공(文忠公) 이원익(李元翼)에 이르기까지 조정에 계속 건의하여 마침내 만력(萬歷) 경술년(광해군 2, 1610)에 공자묘(孔子廟)에 배향되었다. 이는 모두 여러 선비들의 소청(疏請)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개암(介菴)은 젊어서 구속되는 바 없이 행동하였으나 자라서는 기질을 변화시켜 도(道)로 들어가서 마침내 순후(醇厚)하게 되었다. 타고난 효성에다 학문은 정미(精微)한 경지에 이르렀고 법도를 세움에는 스스로 터득하는 것을 주로 삼았다.

천거에 의해 소격서 참봉(昭格署參奉)에 임명되었는데, 임명되고 나서 곧 죽었다. 이때 겨우 40여 세였으나 당시의 동료들이 모두들 노성(老成)한 숙덕(宿德)으로 높였다.

동계(桐溪) 선생의 휘는 온(蘊)이다. 진사시(進士試)에 합격하고 행의(行誼)로 천거되었다. 얼마 후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벼슬이 이조 참판(吏曹參判)에 이르렀다.

조정에서는 엄정한 태도로 곧은 말을 잘하였고 폐주(廢主 광해군) 때에는 아우를 죽이고 모비(母妃)를 금고(禁錮)하는 의론을 반대하다가 10년 동안이나 제주도에서 귀양살았다.

그후 인조(仁祖) 병자호란(丙子胡亂) 때에는 여러 번 소를 올려 오랑캐와 강화하는 것을 간쟁하다가 되지 않자 차고 있던 칼을 뽑아 할복(割腹)을 기도하였으나 미수에 그쳤다.

그 후로는 은퇴하여 산속에서 세상을 마침으로써 천하 만대의 막중한 강상(綱常)을 한 몸에 짊어졌다. 아, 정 선생의 도는 높기도 하였고 강ㆍ정(姜鄭 강익ㆍ정온) 두 선생은 하나는 독학(篤學)으로, 하나는 높은 절의로써 모두 여기에 모셔지게 되었으니, 이는 길이 후세에 썩지 않을 만하다. 어찌 비석을 세워야만 전할 것이겠는가. 그렇지만 이후로 이 서원에 들어와서 이 비를 보는 사람들이 이 비로 해서 여러 선생들의 도덕과 절의에 감격하여 스스로 힘쓸 바를 알아, 들어와서는 집에서 효도하고 마을에서 공순하며 나가서는 나라에 충성한다면 이 비를 세우는 것 또한 도움됨이 있을 것이다. 여러 군자들이여, 어찌 서로 면려(勉勵)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후학(後學) 청풍(淸風) 김종후(金鍾厚)가 짓고 황운조(黃運祚)가 쓰다.


[주D-001]김(金)·정(鄭)……화를 입어 : 김·정은 김굉필(金宏弼)과 정여창(鄭汝昌). 이들은 모두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연산군(燕山君) 4년(1498) 무오사화(戊午士禍)가 일어나자 김종직의 일파로 몰려서 김굉필은 희천(熙川), 정여창은 종성(鍾城)에 각기 유배되었고, 그 후 다시 갑자사화(甲子士禍 : 1504)가 일어나 김굉필은 사사(賜死)되고 정여창은 이미 죽은 뒤였으므로 부관참시(剖棺斬屍)된 것을 말한다.
[주D-002]죽계서원(竹溪書院) : 주세붕(周世鵬)이 안향(安珦)을 제사하기 위해 세운 소수서원(紹修書院)이 순흥(順興)의 죽계(竹溪)에 있으므로 붙여진 이름이다.
[주D-003]실기(實紀) : 정구(鄭逑)가 인조(仁祖) 13년(1635)에 엮은 것으로 1책이다. 정식 명칭은 《문헌공실기(文獻公實紀)》.
[주D-004]추강 남공(秋江南公)의 찬술(撰述) : 《秋江集 師友名行錄》에 "정여창(鄭汝昌)……지리산에 들어가 3년간 나오지 않고 오경(五經)을 연구하여 그 깊은 진리를 다 터득, 체(體)와 용(用)은 근원은 한가지이지만 갈린 끝만이 다르고, 선(善)과 (惡)의 성(性)은 같으나 기질이 다르다는 것을 알았다……그의 성리학은 누구나 존경하였다……"고 한 것을 말한다.

 

本庵集卷七
 
灆溪書院廟庭碑 


我東。自箕子以夷爲華。旣二千有餘年。而儒學猶蔑蔑。高麗有一鄭圃隱。而論者或以忠節掩之。當時盖未知尊也。其卓然爲斯道倡。接墜緖於中土者。實自寒暄金先生,一蠧鄭先生始。繼之以諸老先生六七作。至于今磊落燀爀。而天下道統之傳。歸于我矣。猗歟盛哉。然而金,鄭二先生皆遘禍。言論風旨不甚顯。此學者所以想慕痛慨於千載之下者也。鄭先生世居咸陽。子孫尙傳守焉。嘉靖年間。有介菴姜先生翼。倡議立蘫溪書院。以祠先生。丙寅賜額。蓋國朝237_466c之有書院。創于周武陵之竹溪。而蘫溪次之。嗚呼。先生者學者之祖也。蘫溪者書院之宗也。豈復有尙於此者乎。書院之作。踰二百年而庭無碑。諸生方謀伐石刻辭以竪之。徵文於鍾厚。鍾厚不敢以匪人辭。謹按先生事行大致。略著於實紀。而其英姿異行。見聞皆服。斯固大賢之一節。至若究貫經子辨析性氣。則秋江南公贊述備矣。後生小子何敢更容模象也哉。其旌褒則發自靜菴先生。以及鄭文翼公光弼,李文忠公元翼相繼陳于朝。遂於萬曆庚戌。從祀孔子廟庭。肅宗乙卯以鄭桐溪先生配享書院。己巳又237_466d享以姜介菴。皆多士疏請得命也。介菴先生少斥弛不覊。變而之道醇如也。誠孝出天。學造精微。立法以貴自得務勉强爲主。用薦除昭格署參奉。未拜而卒。時年四十餘。而同時儕流推之爲老成宿德焉。桐溪先生諱蘊擧進士。薦以行誼。尋擢文科。官至吏曹參判。正色直言以立朝。廢主時。斥殺弟錮母妃之議。竄濟州十年。後當仁祖丙子。在南漢圍中。屢抗章力爭和虜。不得則抽佩刀剚腹不殊。屛居巖谷以終。遂以身負天下萬世綱常之重。噫。鄭先生之道尙矣。若姜,鄭二先生。或以篤學。或以峻節。皆從與享之。237_467a斯可以永垂來後而不泯。何待碑哉。雖然從今以往。入是院而睹是碑者。爲激感於諸先生之道德節義而知自勵。入而孝順於家於鄕。出而忠於國。則碑亦有助矣。諸君子盍相與勉之。

 

苔泉集卷五             민인백( 1552~1626)
 遊賞
[安陰迎勝洞] 


歲庚辰。余始拜外家先塋於咸陽。仍訪其宗黨。又拜濫溪書院秋潭精舍。秋潭祀盧玉溪禛。濫溪祀鄭一蠧汝昌。兩先生皆郡人。而俎豆共同一里。尤盛事也。因入安陰迎勝洞。林葛川薰居干此。余投剌。卽出迎。年過稀耋。鬚眉皓白。儀容端重。語音明朗。眞物外鸞鶴也。見其門。丹旌雙列。俱稱孝子。一則葛川。一則其弟參奉芸也。殺鷄爲黍而供之。俄而有年少四儒生來坐。共談四隣邑宰賢否。蓋知我聘君。時爲居昌倅而發也。論說極銳。葛川無一語。言訖。乃曰。君輩只059_093a饒口舌。故有此言也。若當其地。則斯亦不易矣。辭出。

 

退溪先生文集卷之四
 
書院十詠

 

藍溪書院咸陽
堂堂天嶺鄭公鄕。百世風傳永慕芳。廟院尊崇029_129d眞不忝。豈無豪傑應文王。

 

東岡先生文集卷之一
 
西溪唱酬三首○幷小序 


嘉靖丙寅仲夏十三日。盧徙菴子將鄭梅村遂初復顯姜介菴仲輔與開巖舍兄洎余。會話于濫溪書院。共結西050_190c之約以旣望之日。是日乍陰乍晴。諸君不失期。相俟于뢰溪邊樹下。邀我輩同行。鄭竹軒仲尹曺梅菴幼淸與沙溪舍兄隨焉。共訪西溪。溪在天嶺郡西未十里。林深谷幽。石潔泉淸。諸君皆缷馬洞門。足踏苔巖。五步一顧。十步一坐。每得佳處。輒嘯詠沈吟。咸有得得之趣。於是各賦言志。以記淸遊。

幼淸仲輔。與開巖酣歌相和。逸興發越。仲輔歌所製數闋。思致平遠。尤可翫賞。令人一唱三歎。歌罷。遂騎馬帶雨而歸。至廣惠院。相與登樓敍話。霎時而別。噫。穹壤百年。極欠一會。良朋之合。雲水之樂。得一猶難。而又兼之耶。此吾所以酣050_191b觴賦詩。嘯詠長吟而不能自已者也。他年索居中。夢想淸遊。應不堪心魂之飛越。唱酬瓊玉。當爲諸君面目於此時矣。於是乎錄而藏之。是月念日。直峯記。

 

德溪先生年譜卷之一
德溪先生年譜卷之一 
四十四年乙丑先生四十五歲

 十一月。與盧玉溪。038_177c會於咸陽灆溪書院。時金伊溪宇弘。乞養宰是邑。東岡宇顒兄弟。皆奉晨昏於郡衙。先生會玉溪於蘫溪。因與金公兄弟從遊。講論不絶。曹梅庵亦來會○留書院。與盧玉溪, 姜介庵。講論延平問答, 朱子年譜。

畏齋先生文集卷之三
 行狀
寒岡鄭先生年譜
三十四年我宣祖三十九年丙午先生六十四歲秋。拜光州牧使。不赴。與門下若干人。往謁香川書院。仍祭德溪墓。又往晉山謁德山院祠。仍祭南冥墓。向天嶺謁藍溪院祠。又祭一蠧墓而還。○十二月。拜安東府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