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유산 심진동 장수사 용추암 연혁
*신라,고려 사이의 사람인 각연(覺然) 성인이 덕유산에 장수사를 창건하였다.
*1680년(강희19,숙종6) 경신 11월 28일 야반에 화재로 소실되었다.
*절 앞의 냇물 아래 수백 보쯤에 너른 땅을 개척하여 절을 옮겨 짓기로 하였다.
*1681년 신유 봄에 화상 운흡(雲洽), 전주지 수오(秀悟), 의경(義瓊), 삼인(三印), 초은(楚山+言) 등 5~6인이 모금하여 대웅전과 요사채를 건립하기 시작하여 1690년(강희29,숙종16) 경오 가을에 완공하였다.
*1684년 갑자 봄에 대덕 문찬(文贊)이 법당을 건립하여 1685년 을축에 준공하였다.
*대선사 문감(文鑑)이 불상을 조성하였고, 신도 이영생(李英生)이 시왕상을 조성하였는데 전화상 각위(覺位)가 내조하였다.
*1686년 병인에 신도 김상운(金尙雲)이 대루를 세우고 막 상량하려는데 바람이 불어 쓰러졌다. 1687년 정묘에 대중이 고쳐 지었다.
*산인 지찰(智察)이 팔상전 및 팔상탱과 시왕전을 조성하였는데 별좌는 대선사 선일(善逸)이었다.
*1711년(강희50,숙종37) 신묘년중에 호남의 두혜(杜慧)가 조계문(경남유형문화재54호 덕유산장수사조계문)을 세웠다.
*1702년(강희41,숙종28) 임오년중에 동편과 서편이 함께 천왕문을 만들었다.
*대종은 옛것이다.
*1681년 신유년중에 선당, 승당, 서상실은 각기 거주인이 만들었다.
*동상실은 거주인이 같이 만들었는데 1689년(강희28,숙종15) 기사 2월에 불이 나 그해에 바로 중건하였다.
*청풍료는 거주인이 같이 만들었는데 1716년(강희55,숙종42) 병신 3월에 불이 나 당년에 중건하였다.
*1702년(강희41,숙종28) 임오년중에 만월당과 명경당은 동편과 서편이 모금하여 함께 만들었는데 이 2방은 다 뒤에 만든 행랑이다.
*새터의 연대는 다 강희년중이다.
*팔상전과 법당은 예전에 새터에 있었는데 1721년(강희60,경종1) 신축 봄에 용추 옛터에 이건하였고 전의 삼존불상 화주는 선덕 현오(玄悟)이다.
*1725년(옹정3,영조1) 을사년중에 용추암을 건립하였는데 암자의 불상은 서흥암에서 가져온 것이다. 선승을 권유해 들어가 법당을 지키고 향화를 끊어지지 않게 한 것은 옛터를 존중해서이다. 용추암의 신건 화주는 산중의 선덕 서언(瑞彦)화상이다.
*1734년(옹정12,영조10) 갑인 11월 1일 대웅전 위에서 원인 모를 불이 나 불상과 탱화 및 서상실과 향각까지 다 소실되었다.
*1735년 을묘년중에 회암정혜(悔庵定慧 1685~1741)의 제자 호경(護敬)이 모금하여 법당, 불상, 탱화, 삼전위판, 소대, 서상실, 향로전 등을 중건, 조성하였다.
*그중에 법당을 세운 이는 두인(斗仁), 영우(靈祐), 삼준(三俊), 광연(廣衍)이고 내조자는 통정 신기(愼琦)이다. 통정 축잠(竺岑)은 감사이다.
*법당 현판은 호남의 송필산인(宋筆山人) 선열(禪悅)이 새겼다.
*체환(體環), 숙문(琡文) 등이 불상, 탱화 삼전위판, 소대, 운룡을 함께 조성하였는데 관학(管學)이 내조하였다.
*향로전은 법당의 여력이고 서상실은 거주인의 합작이다.
*1736년(건륭1,영조12) 병진에 선덕 사순(思舜), 장로 충욱(忠旭), 민호(敏浩) 등이 모금하고 동편과 서편도 모금하여 법당에 그림을 그렸는데 통정 의관(義寬)이 내조자이고 찬행(贊行)이 감사이다.
*선사 체환(體環)과 통정 관학(管學)이 서로 도와 법화경 1백여 권을 간행하고 목함 2좌를 만들고 옻칠하여 수장하였다.
*금가의 7권경은 대사 숙문(琡文)이 경기도 양주군의 지덕사에 가서 가져왔다. 황가의 20권경은 함양군 엄천사에서 가져왔는데 인쇄한 화주는 처사 김중삼(金重三)이고 가져온 이는 원통암의 승려 탄민(坦敏)이다.
*심진동 장수사 부속 암자는 동쪽에 도솔암, 서쪽에 백련암, 북쪽에 용추와 은신암이 있었다. 기타 서흥, 원적, 견성, 영악, 보제, 천진, 무주 등 9개 암자는 터만 있었고 북쪽으로 영축산에 수방암, 동쪽으로 망월암, 각연조사의 부도가 있는 부도암이 있었다.
*1736년 병진 2월에 춘계(春溪) 수우두혜(守愚杜慧)가 용추암에서 참선을 하였고 단오에 풍학(豊學)의 요청으로 용추암 창건,중수의 원류,흥폐의 기록을 지었다. (함산초역)
서명: 安陰長水寺與龍湫菴創修源流興廢錄
현대어서명: 안음장수사여용추암창수원류흥폐록 청구기호: 奎 6204 책수: 1冊(6장) |
저자: 杜慧(朝鮮)編
간행년대: 무 판본: 필사본 사이즈: 30.2×19.6cm. |
1736년(영조 12) 守愚 杜慧가 경상도 安陰의 長水寺 창건 및 興廢사적을 기록한 책이다. 저자 杜慧에 관하여는 자세히 알 수 없다. 표지서명은 <龍湫寺蹟>이다. 이 사적은 1734년(영조 10) 화재를 당하여 절이 소실됨으로써 이를 안타까이 여겨 편찬된 것으로 보인다. 長水寺는 신라시대에 세워진 古刹로서 이 책에는 사찰의 위치와 風水上의 의미‚ 사찰의 창시연원 및 화재로 소실될 때까지의 興廢사적이 기록되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