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구사와 안국사
신증동국여지승람 제31권 |
경상도(慶尙道) |
함양군(咸陽郡)
덕봉사(德峯寺) 천왕점 밑에 있다. 등귀사(登龜寺) 오도봉(悟道峯)에 있다.
佔畢齋文集卷之二 |
說 |
|
宿靈神寺。但有一僧。寺之北崖。有石迦葉一軀。世祖大王時。每遣中使行香。其項有缺。亦云爲倭所斫。噫。倭眞殘寇哉。屠剝生人無餘。聖母與迦葉之頭。又被斷斬。豈非雖頑然之石。以象人形而遭患歟。其右肱有瘢。似燃燒。亦云劫火所焚。稍加焚。則爲彌勒世。夫石痕本如是。而乃以荒怪之語誑愚民。使邀來世利益者。爭施錢布。誠可憎也。迦葉殿之北峯。有二巖突立。所謂坐高臺也。其一。下蟠上尖。頭戴方石。闊纔一尺。浮屠者言。有能禮佛於其上。得證果。從者玉崑,廉丁。能陟而拜。予在寺望見。亟遣人叱土之。此輩頑愚。幾不辨菽麥。而能自判命如此。浮屠之能誑民。擧此可知。法堂
有蒙山畫幀。其上有贊。云。頭陁第一。是爲抖擻。外已遠塵。內已離垢。得道居先。入滅於後。雪衣雞山。千秋不朽。傍印淸之小篆。乃匪懈堂之三絶也。東砌下有靈溪。西砌下有玉泉。味極甘。以之煮茗。則中泠惠山。想不能過。泉之西。壞寺巋然。此古靈神也。其西北斷峯有小塔。石理細膩。亦爲倭所倒。後更累之。以鐵貫其心。失數層矣。壬午。早起開戶。見蟾津潮漲。久視之。乃嵐氣平鋪也。食罷。竝寺之西北。憩于嶺上。望般若峯。約六十餘里。而兩足畫繭。筋力已竭。雖欲往觀。不能強也。徑由直旨而下。道
益懸危。攀樹根。履石角。數十餘里。皆此類也。面東而仰視。天王峯若咫尺矣。竹梢或有實。皆爲人所採。松之大者。可百圍。櫛立嵌巖。皆平日所未見。旣下峻趾。二壑之水所合。其聲噴放。振搖林麓。澄潭百尺。遊魚濈濈。余四人掬水漱齒。沿崖曳杖而行。甚可樂也。谷口有野廟。僕人以馬先候焉。遂更衣乘馬。抵實宅里。父老數輩。迎拜道左云。使君遊歷無恙。敢賀。余始喜百性不以優遊廢事罪我也。解空。往君子寺。法宗。往妙貞寺。太虛,克己,百源。往遊龍遊潭。余則踰登龜岾。徑還郡齋。出遊纔五日。而頓
覺胸次神觀。寥廓蕭森。雖妻孥吏胥視我。亦不似舊日矣。嗚呼。以頭流崇高雄勝。在中原之地。必先嵩岱。天子登封金泥玉牒之檢。升中于上帝。不然。則當比之武夷衡岳。博雅如韓昌黎,朱晦菴蔡西山。修煉如孫興公,呂洞賓,白玉蟾。聯裾接踵。彷徉棲息於其巾矣。今獨爲庸夫逃隸竄籍學佛者之淵藪。吾輩今日。蹤得登覽一遭。僅償平素之願。而繩墨悤悤。不敢訪靑鶴歷五臺。遍探幽奇焉。夫豈玆山之不遇耶。長詠子美方丈三轉之句。自不覺神魂之飛越也。歲壬辰仲秋越五日。書。
해공은 군자사(君子寺)로 가고, 법종은 묘정사(妙貞寺)로 가고, 태허, 극기, 백원은 용유담(龍游潭)으로 놀러 가고, 나는 등귀재(登龜岾)를 넘어서 곧장 군재(郡齋)로 돌아왔는데, 나가 노닌 지 겨우 5일 만에 가슴 속과 용모가 확 트이고 조용해짐을 갑자기 깨닫게 되어, 비록 처자(妻子)나 이서(吏胥)들이 나를 볼 적에도 역시 전일과 다르게 보일 것 같았다.
濯纓先生文集卷之五 |
錄 |
|
名曰蹄閑。自蹄閑西南行。上下岡隴可十里。兩山對峙。一泉中注。漸入佳境矣。行數里陟一岵。從者曰當下馬拜。余問所拜。答曰天王。余不省天王是何物。策馬而過。是日雨下如注。嵐霧渾山。從者皆蓑笠。泥滑路澁。相失在後。信馬到登龜寺。山形穹窿如
신마(信馬)로 등귀사(登龜寺)에 당도하니 산의 형상이 소복하여 거북과 같은데, 절이 그 등에 올라 있다하여 이름이 된 것이다. 옛 축대가 동떨어지게 높고, 축대 틈에 깊숙한 구멍이 있어 시냇물이 북으로부터 내려와 그 속으로 쏟는데 소리가 골골한다. 그리고 그 위에 동찰(東刹) ㆍ 서찰(西刹)이 있는데, 우리 일행은 모두 동찰에 들고 종자를 골라서 돌려보냈다. 비가 밤을 새고 아침까지도 그치지 아니하므로 드디어 절에 머물러 각기 낮잠을 자고 있는데, 중이 갑자기 말하기를, “비가 개어 두류산이 보인다.” 하기로 우리 세 사람은 몰래 일어나 잠든 눈을 부비고 보니 새파란 세 봉이 점잖게 창문에 당하여 흰 구름이 비끼고 푸른 머리구비가 비칠 따름이다. 이윽고 또 비가 내리므로 나는 농담조로 말하기를, “조물주도 역시 관심을 두는 모양인가. 산악의 형상을 숨기는 것을 시새워하는 바가 있는 듯하다.” 하니 백욱은 말하기를, “산신령이 오래도록 시객(詩客)을 가둬놓을 작정인지 뉘 알겠는가.” 하였다. 이날 밤에 다시 개어 하얀 달이 빛을 발하니 창안(蒼顔 산을 말한 것)이 전부 드러나서 뭍 골짜기에는 선인(仙人) ㆍ 우객(羽客)이 너울너울 춤을 추고 있는 듯하다. 백욱은 말하기를, “사람 마음이나 밤기운이 이 지경에 이르면 도시 찌꺼기라곤 없기 마련이라.” 하였다. 나의 조그마한 몸이 자못 피리를 고를 줄 알기로 그를 시켜 불게 하니 또한 족히 공산의 소리를 전할 만하여 세 사람은 서로 대하고 밤이 으슥해서야 바야흐로 잠자리에 들어갔다. 이튿날 아침에 나는 백욱과 더불어 짚신을 신고 지팡이를 짚고 걸어서 등구암을 떠나 1마장쯤 내려가니 볼만한 폭포가 있다.
뢰谿集卷之二 |
七言小詩 |
|
頭流山下坦夷堂。
倚杖秋風白髮長。
落葉滿山埋去路。
白雲何處更深藏。
뢰谿集卷之二 |
七言小詩 |
|
水雲深處縱天遊。甁錫飄飄不可留。
喉裏法雷獅子吼。數聲淸澈萬山秋。
我自金鑾天上回。師從安國寺中來。
塵寰擾擾雲林寂。多少襟懷得共開。
坦夷堂裏共幽期。香燼堆盤夜正遲。
萬丈頭留眞面目。坐來收拾入吾詩。
徂徠香屑世無倫。三十年來十襲珍。
每笑東坡詩句在。非人磨墨墨磨人。
紛紛處世百家流。龍象時從麟鳳遊。
他日過溪三笑處。馬川煙雨是菟裘。
뢰谿集卷之六 |
七言律詩 |
|
好在頭流萬疊山。暫偸休暇此登攀。
金堂玉室尋前約。碧嶺丹崖摠舊顏。
歲律蒼茫鴻北去。黃花搖落客南還。
鑾坡遠與雲林隔。兩地歸來鬢已斑。
一逕蒼髥管送迎。椶鞋聊復扣岩扃。
石果激激當琴韻。霜棄毿毿作雨聲。
境勝已無塵可染。吟高更與夢還淸。
明朝却絆簪纓去。回首靑山有舊情。
悟道山中修老禪。黃瞳方面故依然。
鴻毛汎沼元無定。師子安心已有年。
凍雨一窓供穩睡。靑燈半壁話眞詮。
宦情歲晩偏寥落。冷雁長空北斗邊。
介庵先生文集下 |
附錄 |
|
嘉靖三十二年癸丑。先生年三十一歲。與吳德溪。同遊智異。智異北麓。有洞曰登龜。愛其宅幽而勢阻。買田結茅。以爲終老之計。別搆一小齋。扁曰養眞。凡梅竹蘭菊之屬。皆手植左右。而靜養性靈。嘉遯永貞。遠近學者。聞風坌集。爭問業焉。
樗村先生遺稿卷之十 |
詩 |
|
少歇登龜寺。旋經悟道山。頭流行應遍。鞍馬且將還。是處窮幽賞。玆遊儘博閒。花林今夜月。兄弟更承顔。
龍洲先生遺稿卷之三 |
七言律詩 |
|
三韓方丈是神山。鐵鎖高垂未易攀。濟勝平生徒有脚。營丹十載奈凋顏。西關道德周聃去。南嶽煙霞李泌還。獨覺古人前後事。登龜宜待菊楓斑。
水+雷谿集卷之二 |
|
![]() | |
|
뢰谿集卷之六 |
|
七言律詩 | |
|